본문 (요약)
목표는 단순합니다. “지표 3개 이상이 한 방향으로 겹치면 강하게, 엇갈리면 보수적으로.”
아래 12개 항목을 상—보통—낮음으로 빠르게 분류하면, 승부/관망이 자동으로 나뉩니다.
A. 컨디션·적성 (1~4)
-
최근 경주일·출전주기: 3~6주 안정권, 8주↑이면 보수적.
-
거리/코스 반복: 같은 거리 반복은 적성 유지, 급격 변경은 검증 필요.
-
마체중 급변: ±10kg 급변은 컨디션 변화 신호.
-
능력 곡선: 레이팅이 평균R 대비↑ & 승급 후에도 유지.
B. 전개·페이스 (5~8)
-
S1 순발 & 자리 선점: 출발 안정+코너까지 포지션 유지가 핵심.
-
3C/4C 유지력: 중반 압박에서도 순위 유지/상승 여부.
-
G1 막판 가속: 추입형은 G1 지수/스퍼트가 승부처.
-
예상 페이스 매칭: 빠르면 선행 우위, 느리면 포지션·지구력 우위.
C. 연결력·안정성 (9~10)
-
기수·조교사·마주 조합: 최근 3개월 승률/복승률 상위, 호흡 이력.
-
환산T & 착순상금 흐름: 동일거리 적합성, 최근 상금 ↑면 폼 양호.
D. 리스크·복기 (11~12)
-
불운 vs 한계: 막힘/진로손실·충돌은 ‘불운’, 완벽 전개 평범 결과는 ‘한계’.
-
부담중량·주로·거리 민감도: 체형/주행 특성과 맞는지 재검토.
적용 예시 (간단)
-
체크리스트에서 상(+) 7개 이상 → 메인/강승부.
-
상 4~6개 → 분산/보수적.
-
상 3개 이하 → 관망 또는 고배당 틈새만.
내부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