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예상 데이터는 흐름대로만 분석하시면 여러분의 마번 선택 실력을 한층 높여 줄 것 입니다.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데이터를 보실 때 PC에서 보셔야 전체의 흐름을 한 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
다운 받은 데이터(PDF파일)를 프린터로 출력 하실 때는 “A3 사이즈, 인쇄 방향-가로” 으로 출력하세요.
- 사용된 데이터는 공개된 한국 마사회의 자료를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1단계 (각 경주마의 개요 파악)

경주일은 최근 1년간의 경주만 포함되며 6개월 이상이 지난 경주는 빨간색으로 표시 하였습나다.
경주 거리별로 빠른 비교가 가능하도록 바탕색을 달리 하였습니다.
빨간색 경주 거리와 마체중은 해당마가 1,2착으로 들러온 경우이고 파간색은 3착으로 들어온 경우입니다.
출전은 회수가 적을수록 신마이며 0~7전까지는 발전 가능성이 더 높아 빨간색으로 표시 하였습니다.
출전 주기는 8주 이상이 빨간색인데 질병 등으로 인한 장가 휴양마가 포함되어 있어 주의하여 보아야합니다.
그리고 약편성의 기회를 기다렸는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 주행심사 기록은 제외 하였습니다.
2단계 (각 경주마의 능력 향상 정도 파악)

경주마는 성장하며 능력이 향상됩니다.
이때 능력의 향상 정도를 흐름대로 파악하여 예상에 참조합니다.
승급의 경우는 몇착으로 승급 하였는지, 승급 하였을 때의 착차는 얼마나 되는지,
이때 레이팅 점수가 몇 점이나 올라갔는지에 따라 능력 향상 정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평균R은 해당 경주에 함께 참가하는 모든 경주마들의 레이팅 평균으로 해당 경주의 강도를 어느 정도 파악합니다.
해당마의 레이팅 변화 흐름도 파악합니다.
성별은 암, 수, 거 등으로 표시 거세마의 경우는 언제 “수”에서 “거”로 바뀌었는지를 유념해 보세요.
3단계(가장 중요함, 선행력과 추입력 등을 비교하며 각 지점의 통과 순위를 함께 고려하여 분석합니다. 자리 잡기, 전개를 머리속에 그려 봅니다.)

S1, 3C(3코너), 4C(4코너), G1 는 각 지점에서의 통과 순위이고,
S1G(선행력)와 G1G(추입력)는 처음 200m 의 구간과 결승선 전방 200m의 기록을 한 눈에 상대 비교가 가능하도록 그래프화 하였으며 S1G1G는 선행력과 추입력의 합산 평균 기록입니다.
S1 그래프가 큰(선행력) 경주마가 많은 경주는 경주가 대체적으로 빠르게 진행됩니다.
착차 또한 중요한데 1착 말과의 차이로 1초는 5~6마신입니다.
착차의 최대값은 3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차5는 지난 5개 경주의 착차합 입니다.
착차와 차5가 작게 유지될수록 능력마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착순과 인기를 비교하여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비인기마가 입상하였을 경우와 인기마가 순위 밖인 경우는 반드시 반드시 복기를 통하여 인기마의 몰락 원인과 비인기마의 착순에 대한 의문점을 가져야 합니다.
인기 순위는 단승식 배당 순위를 기초로 하였습니다.
4단계(기수, 조교사, 마주 등의 연대 가능성 파악)

기수의 연승률, 조교사의 복승률은 최근 3개월간의 기록입니다.
기수가 교체되는 경우 등을 유념하세요.
착순상금은 직전경주 까지의 합산 금액입니다.
환산T는 보정된 경주기록으로 빨간색 글자의 경우는 이번 경주와 같은 거리의 기록입니다.
# 사용된 시간 기록은 함수율, 경주거리 등의 상대적 차이를 고려하여 보정된 계산 기록으로
실제 기록보다 정도에 따라 약간 높지만 상대적인 비교에는 무리가 없습니다.
5단계(복기)

복기 데이터는 예상 데이터와 같은 형식인데 다만 경주별로 분류 되어 있습니다.
경주마의 착순에 대한 원인 분석과 결과 분석이 목적이며 다음 경주를 위한 복기입니다.
특히 심판위원 Report는 한국마사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경주 동영상과 함께 보시면 매우 유익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