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어떤 순서로 보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아래 7단계만 지켜도 혼동이 줄고, 일관된 판단이 가능합니다. (본 글은 교육·정보 제공 목적이며, 특정 말 추천이나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1단계: 레이스 조건 한 줄 요약

  • 거리 / 등급 / 주로(빠름·보통·불량) / 출전마 수 / 게이트 분포
  • 같은 조건에서 과거 성적이 반복되는지 먼저 확인

2단계: 출전 주기·공백·훈련 흐름

  • 3~6주 리듬이 가장 안정적, 8주 이상은 보수적으로 접근
  • 마체중 ±10kg 급변은 컨디션 신호 → 다음 단계에서 교차 검증

3단계: 거리·코스 적성 & 편파(바이어스)

  • 동일·유사 거리에서 기록·착차가 꾸준한가?
  • 최근 주로 편파(선행/추입 유리, 내·외곽 편파) 메모

4단계: 능력 지표(레이팅·평균R·환산T)

  • 레이팅 vs 평균R: 상대 강도(평균R) 대비 내 레이팅의 상승/하락
  • 환산T: 같은 거리·조건 보정치가 좋으면 당일 적합성 상승

5단계: 전개 예측(S1·3C/4C·G1 + 선행·추입 지수)

  • S1(200m): 초반 자리 싸움 / 3C·4C: 중반 유지 / G1(200m): 막판 가속
  • 편성이 빠르면 추입 쪽, 느리면 선행 쪽 가중치

6단계: 연결력(기수·조교사·마주)

  • 최근 3개월 승률/복승률·착순상금 흐름 → 팀 컨디션
  • 기수 변경·부담중량 변동과의 상관 확인

7단계: 복기(영상+리포트)로 원인–결과 매칭

  • 스타트 지체·진로막힘·외곽 롱턴 등 손실 거리 추정
  •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태깅 → 다음 경주 우선순위 확정

체크리스트(요약)

  • 조건 동일/유사 반복 ✔ / 주기 안정 ✔ / 급격 체중 변화 ✖
  • 레이팅 vs 평균R 상향 ✔ / 전개 유리 ✔ / 연결력 우수 ✔
  • 복기에서 불운 보정 ✔ / 과대평가 시그널 주의 ✖

자주 묻는 질문(FAQ)

Q. 초보도 7단계 모두 봐야 하나요?

A. 1→3→7단계만 봐도 절반은 걸러집니다. 익숙해지면 4·5·6단계로 확장하세요.

Q. 인기(배당) 정보는 어디에서 반영하나요?

A. 5~7단계에서 전개/복기와 교차해 과대평가 여부만 점검하세요.